LKIF GALLERY

EXHIBITIONS
ARTISTS
FAIRS
ABOUT
CONTACT 


©LKIF. All Rights Reserved.



DOI JAENA & JUNGWON YOON 

September 20 —  October 25, 2025 



LKIF is pleased to present a duo exhibition featuring new works by Doi Jaena and Jungwon Yoon. The two artists, based in Seoul, offerdistinct interpretations of everyday objects and overlooked sceneries—inviting us to pause and rediscover the subtle moments we oftenpass by unnoticed.

DOI JAENA: Frozen Flow and Structural Sensation


Doi Jaena(b.1987) is a Seoul-based twin artist duo composed of Doi Jung and Jaena Jung. Doi received her BA in Industrial Design from KonkukUniversity, Seoul, while Jaena earned her BA in Ceramics from Kookmin University, Seoul. Collaborating under a shared artistic identity,the duo merges two perspectives into a single sculptural voice. Their works resist overt narratives or messages. Instead, they explore the invisible layers of structure and perception embedded inordinary objects. For Doi Jaena, the everyday is not trivial—it is simply too familiar. Their practice revisits these overlooked moments usinga unique perceptual and formal language.

At the center of this exhibition is the motif of the fountain—a form that embodies both stillness and motion.
These new sculptures capturefleeting, suspended moments within the perpetual movement of rising and dispersing water. The result is a visual logic of flow, invokingthemes of circulation, connection, and quiet continuity.

<4 Dotted Lines>, a suspended installation of beads strung from ceiling to floor, evokes the rhythm of falling water droplets. Somesegments are loosely joined by rings, creating a fragile structure that can be undone with the slightest touch—mirroring the interdependentyet impermanent bond between individual drops of water.
Mounted nearby, <Fountain> is a wall relief shaped from crumpled and hammered aluminum foil. This ordinary material is transformed byhand into a glistening surface that captures light like a real fountain. With silver and pastel tones rather than bold colors, the piecemaintains a subtle, luminous presence that softens its material intensity.These works do not seek to represent a “thing.” Instead, they propose a way of sensing—of seeing how perception itself might bestructured. Even in the stillness of a frozen flow, beauty endures, and within these abstracted forms, one may still come to see thefountain. This body of work extends Doi Jaena’s long-standing inquiry into “images of connection.” Through acts of connecting, stacking,assembling, and transforming, they build a sculptural architecture that simultaneously reveals and generates relationships.
The manipulated aluminum foil—crushed, stretched, layered—produces a tactile density that mirrors the reflective, fluid properties of water,while pastel hues evoke a serene, weightless atmosphere.

Doi Jaena’s sculptures do not assert meaning; rather, they allow us to sense the silence surrounding them. Meaning, here, does not residewithin the object, but lingers quietly on the periphery of the viewer’s gaze.

세상의 모든 것이 반드시 어떤 ‘의미’를 품고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도이재나의 조각은 주제나 서사를 넘어, 눈에 보이지 않는 구조와 감각의 층위를 탐색한다.이 듀오 아티스트는 평범해서 무심히 지나치기 쉬운 대상들 속에 내재한 구조적 본질과 감각의 리듬을 포착하며, 보이지 않는 관계와 연결성을 시각화해왔다.

우리가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이유는, 그것들이 지나치게 일상적이기 때문이다. 도이재나는 바로 그 일상의 사물과 현상들을 자신들만의 감각과 해석으로다시 바라본다. 이번 전시의 신작들은 분수를 모티프로 삼아, 끊임없이 솟구치고 흩어지는 물의 흐름 속에서 잠시 멈춘 듯한 한 장면을 포착한다. 각 작업은 이 흐름의 조각적구조를 드러내며, ‘순환’과 ‘연결’이라는 이미지에 영속성과 감각의 리듬을 부여한다.

전시장 중앙에 설치된 <네 개의 점선>과 벽에 걸린 평면 조형 <분수>는서로 다른 차원에서 이러한 구조를 병치한다.
<네 개의 점선>은 구슬을 연결해 천장에서 바닥까지 늘어뜨린 설치 작업으로, 무한히 반복되는 물방울의 흐름을 직관적으로 형상화한다. 구슬은 부분적으로고리로 엮여 있으나, 작은 움직임에도 쉽게 풀리는 유동적인 구조를 갖는다. 이는 분수의 물줄기에서 감지한, 각 방울들이 필연적으로 연결되는 관계성에 대한작가의 감각을 반영한다. <분수>는 알루미늄 포일이라는 일상적인 재료를 구기고, 두드리고, 밀어내며 결합한 조형 작업이다. 도이재나는 이 재료 특유의 금속성 질감과 은은한 반사 효과를 살려, 빛을 받아 반짝이는 분수의 한 장면을 떠올리게 한다. 화려한 색채 대신 은빛과 파스텔 톤을 사용해 색 대비를 낮추고,밝고 명료한 시각적 인상을 형성하였다.

도이재나의 조각은 환영을 생성하지 않는다.작업은 어떤 ‘대상’의 묘사라기보다, 그것을 지각하는 방식, 그리고 그 지각을 구조화하는 태도에 가깝다.이들은 연결, 쌓기, 조립, 변형 등을 통해 물리적 구조를 형성하고,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관계와 상호작용에 대한 탐구를 지속해 왔다. 특히 이번 신작에 사용된알루미늄 포일의 구기고, 두드리고, 밀어내는 물성은 그 자체로 구조적 완결성을 만들어내며, 조형적 밀도를 형성한다. 소재 특유의 반사 효과는 물의 속성을환기시키고, 은빛과 파스텔 컬러의 조화는 작업 전반에 가볍고 맑은 분위기를 부여한다.

이번 작업은 도이재나가 꾸준히 탐구해 온 ‘연결의 이미지’를 분수의 움직임에 투영함으로써, 순환성과 영속성을 시각화한다. 관객은 덜어낸 감각과 정지된 흐름 속에서도 여전히 아름다움을 느끼게 되며, 분수를 닮지 않은 분수 작업 속에서 분수를 ‘보게’ 될 것이다. 도이재나의 조각은 의미를 말하기보다, 의미를 둘러싼 침묵을 감각하게 한다. 그 의미는 작품 안에 고정된 채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당신의시선 주변에서 조용히 머무른다.


JUNGWON YOON: Blue Reflections and Hidden Layers


Jungwon Yoon(b.1978) lives and works in Seoul. She holds a BA in Oriental Painting and an MA in Visual Arts from Ewha Womans University,Seoul. In Yoon’s Blue Flower series, vibrant blue blossoms are rendered in full bloom, meticulously arranged in vases. Around these enormous flowers, small birds flit and hover.

At the center of her practice is seokcheong—a traditional, opaque mineral pigment known for its rich,enduring hue. Though flowers have been a recurring motif in Yoon’s work, her intention has never been to depict them as mere symbols of beauty. Instead, she uses them as metaphors for the fragility and impermanence of all living beings—reflections of our daily, finite lives. Herpaintings serve as quiet meditations on existence itself.

This exhibition showcases her signature <Blue Flower> series alongside two new bodies of work: <Tiny Blue> and <Blue Orbs>. The recurring circular blue motifs—evoking seeds, buds, fruits, or rounded leaves—become symbols of both origin and wholeness, expandingher visual vocabulary. A striking shift in scale defines these new series: where once small birds nestled among towering blossoms, now larger birds perch atoptiny, rounded forms. This reversal challenges our perception and invites new interpretations.

Yoon’s technique involves underpainting the reverse side of the silk fabric before beginning the front-facing image. This process allows pigments to seep through the thin silk, creating subtle tonal variations and giving the surface its distinctive, layered depth. The result is a painting constructed from both visible and invisible layers, offering a nuanced visual and conceptual experience.

Visually, the paintings often resemble double-layered tableaus. As viewers trace each bird and bloom across the surface, they may beginto notice small, scorched holes—interruptions that hint at a second, hidden image beneath. These “damages” are not destructive, butrevelatory: they remind us that another reality may lie just beneath what we think we see. This moment of discovery leaves a lingering impression. Like Narcissus entranced by his own reflection in the spring, we too may findourselves drawn to these images without fully knowing what it is we are seeing.

Yoon’s flowers, birds, and layered spaces are not mere reproductions of natural beauty. They question the act of seeing itself—how weperceive, how we interpret, and how meaning is formed through gaze. All artistic creation stems from life. Through his imagined flora and fauna, Jungwon Yoon presents earnest reflections on our existence. Her paintings are saturated with harmonious beauty, yet marked with small ruptures—subtle reminders of impermanence, of another layer justbeneath the surface. In this delicate tension between fullness and fracture, reality and illusion, Yoon composes visual narratives that unfold like prose poems. As you face Yoon’s imagined world, the story begins where your gaze begins—and ends quietly at the point where you choose to lookaway.lso as a conceptual extension of the viewers’ spaces: the collectors’ rooms themselves.

푸른 꽃들이 무성히 화병에 꽂혀 저마다 자태를 뽐낸다. 그 거대한 꽃들 주변을 작은 새들이 날아다닌다. 윤정원의 <푸른 꽃> 시리즈는 무기 안료 석청의 강렬한색을 중심으로 정교하게 묘사된 정물 회화다. 그의 작업에서 ‘꽃’은 늘 중심이 되는 모티브였다. 그러나 그는 꽃을 단지 아름답고 완전하게 그리려는 것이 아니라, 피고 지는 꽃의 생애에 생명을 지닌 모든 존재들—특히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평범한 우리들—의 모습을 투영하고자 한다. 작가는 그의 작업이 곧 존재에대한 성찰의 과정이었다고 말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대표작인 ‘푸른 꽃’ 연작과 함께 새롭게 선보이는 <푸른 콩> 연작, <파란 방울> 연작을 통해 삶에 대한 찬미와 고찰을 결합하려는 작가의 시도가더욱 확장된다. <푸른 콩>과 <파란 방울> 연작에 등장하는 파란 둥근 점들은 콩과 같은 씨앗이자 열매이며, 꽃봉오리이자 둥근 이파리, 혹은 이 모든것을 감싼 세계의 상징처럼 보인다. 이는 윤정원 작업의 시작점이자 동시에 그 전체를 함축하는 새로운 조형 언어로 읽힌다.

<푸른 꽃> 시리즈에서 무성한 식물 사이를 작고여린 새들이 노닐었다면, <푸른 콩>과 <파란 방울> 시리즈에서는 작은 원형 위에 오히려 큰 새가 앉아 있는 반전된 구도가 등장한다. 가까이 다가가 이 원형들을바라보면, 처음에는 단순히 푸른색으로 보였던 화면 안에 미묘하게 뒤섞인 다양한 색채의 뉘앙스를 발견하게 된다.이 효과는 비단의 뒷면에서 비롯된다. 작가는 작업에 앞서 비단의 뒷면에 다양한 색을 먼저 칠하는 방식을 택한다. 앞면으로 은은히 비쳐 나오는 색감은 화면의푸른빛에 섬세한 변주를 만들어낸다. 이처럼 비단의 앞면과 뒷면 모두를 활용한 채색 방식은, 보이는 레이어와 보이지 않는 레이어가 함께 화면을 구성하게 하며, 작품에 물리적 공간감을 부여하는 동시에 ‘화면 뒤’라는 개념적 공간을 암시한다.

겉으로 보이는 화면 또한 두 겹의 장면이 겹쳐진 듯한 구조를 띤다. 꽃들과 그 사이를 나는 새들, 혹은 위에 앉은 새들을 하나하나 따라가다 보면, 관객은 그 사이사이에 마치 불에 타 생긴 듯한 작은 구멍들을 발견하게 된다. 이 작은 ‘파손’은 또 하나의 뒤편 화면을 암시하며, 우리가 보고 있다고 믿었던 장면의 이면에또 다른 세계가 존재함을 깨닫게 만든다. 마치, 맑은 샘물 속에 비친 자신의 아름다운 모습에 빠져들면서도 그것이 자신임을 알지 못했던 나르키소스처럼—우리는 이 화면을 바라보며, 우리가 무엇을 보고 있는지 분명히 알지 못한 채 매혹되고 있는지도 모른다.

윤정원의 꽃과 새, 그리고 그 너머의 레이어는 단지 자연의 아름다움을 재현한 것이 아니라, ‘보는 행위’ 자체에 대한 질문, 그리고 그 인식의 방식을 끌어낸다.이러한 발견의 순간은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두 개의 레이어가 중첩되어 있다는 인식은, 계기가 없다면 결코 보지 못했을 ‘무언가’를 마주하는 경험과 닿아 있다. 이는 마치 일상 속에서 간과해버리는 진실 혹은 감정처럼, 작고 조용한 울림을 불러일으킨다.모든 예술적 창작은 결국 삶에서 비롯된다. 윤정원의 꽃과 새는 인간과 세상의 모든 유한한 생명을 은유하며, 완성된 작업은 존재에 대한 개인적인 고찰을 형식화하려는 진지한 시도다. 그는 충만하고 완전한 아름다움의 세계를 화면 속에 구축한 후, 그 일부를 파괴된 듯 표현하고, 그 이면에 또 다른 세계를 암시함으로써 삶과 죽음, 현실과 환상 사이의 플롯을 따라 서사를 풀어낸다. 그의 작업은 마치 짧은 산문처럼, 언어 대신 시각으로 쓰인 사유의 조각들이다. 윤정원이 그려낸 세계를 마주하며, 당신이 시선을 두기 시작한 곳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그리고 당신이 바라보기를 멈추는 곳에서, 이야기는 조용히 끝을 맺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