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HIBITIONS
ARTISTS
FAIRS
ABOUT
CONTACT
©LKIF. All Rights Reserved.
DOI JAENA & JUNGWON YOON
September 20 — October 25, 2025
LKIF is pleased to present a duo exhibition featuring new works by Doi Jaena and Jungwon Yoon. The two artists, based in Seoul, offerdistinct interpretations of everyday objects and overlooked sceneries—inviting us to pause and rediscover the subtle moments we oftenpass by unnoticed.
DOI JAENA: Frozen Flow and Structural Sensation
Doi Jaena(b.1987) is a Seoul-based twin artist duo composed of Doi Jung and Jaena Jung. Doi received her BA in Industrial Design from KonkukUniversity, Seoul, while Jaena earned her BA in Ceramics from Kookmin University, Seoul. Collaborating under a shared artistic identity,the duo merges two perspectives into a single sculptural voice. Their works resist overt narratives or messages. Instead, they explore the invisible layers of structure and perception embedded inordinary objects. For Doi Jaena, the everyday is not trivial—it is simply too familiar. Their practice revisits these overlooked moments usinga unique perceptual and formal language.
At the center of this exhibition is the motif of the fountain—a form that embodies both stillness and motion.
These new sculptures capturefleeting, suspended moments within the perpetual movement of rising and dispersing water. The result is a visual logic of flow, invokingthemes of circulation, connection, and quiet continuity.
<4 Dotted Lines>, a suspended installation of beads strung from ceiling to floor, evokes the rhythm of falling water droplets. Somesegments are loosely joined by rings, creating a fragile structure that can be undone with the slightest touch—mirroring the interdependentyet impermanent bond between individual drops of water.
Mounted nearby, <Fountain> is a wall relief shaped from crumpled and hammered aluminum foil. This ordinary material is transformed byhand into a glistening surface that captures light like a real fountain. With silver and pastel tones rather than bold colors, the piecemaintains a subtle, luminous presence that softens its material intensity.These works do not seek to represent a “thing.” Instead, they propose a way of sensing—of seeing how perception itself might bestructured. Even in the stillness of a frozen flow, beauty endures, and within these abstracted forms, one may still come to see thefountain. This body of work extends Doi Jaena’s long-standing inquiry into “images of connection.” Through acts of connecting, stacking,assembling, and transforming, they build a sculptural architecture that simultaneously reveals and generates relationships.
The manipulated aluminum foil—crushed, stretched, layered—produces a tactile density that mirrors the reflective, fluid properties of water,while pastel hues evoke a serene, weightless atmosphere.
Doi Jaena’s sculptures do not assert meaning; rather, they allow us to sense the silence surrounding them. Meaning, here, does not residewithin the object, but lingers quietly on the periphery of the viewer’s gaze.
세상의 모든 것이 반드시 어떤 ‘의미’를 품고 있어야 할 필요는 없다. 도이재나의 조각은 주제나 서사를 넘어, 눈에 보이지 않는 구조와 감각의 층위를 탐색한다.이 듀오 아티스트는 평범해서 무심히 지나치기 쉬운 대상들 속에 내재한 구조적 본질과 감각의 리듬을 포착하며, 보이지 않는 관계와 연결성을 시각화해왔다.
우리가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이유는, 그것들이 지나치게 일상적이기 때문이다. 도이재나는 바로 그 일상의 사물과 현상들을 자신들만의 감각과 해석으로다시 바라본다. 이번 전시의 신작들은 분수를 모티프로 삼아, 끊임없이 솟구치고 흩어지는 물의 흐름 속에서 잠시 멈춘 듯한 한 장면을 포착한다. 각 작업은 이 흐름의 조각적구조를 드러내며, ‘순환’과 ‘연결’이라는 이미지에 영속성과 감각의 리듬을 부여한다.
전시장 중앙에 설치된 <네 개의 점선>과 벽에 걸린 평면 조형 <분수>는서로 다른 차원에서 이러한 구조를 병치한다.
<네 개의 점선>은 구슬을 연결해 천장에서 바닥까지 늘어뜨린 설치 작업으로, 무한히 반복되는 물방울의 흐름을 직관적으로 형상화한다. 구슬은 부분적으로고리로 엮여 있으나, 작은 움직임에도 쉽게 풀리는 유동적인 구조를 갖는다. 이는 분수의 물줄기에서 감지한, 각 방울들이 필연적으로 연결되는 관계성에 대한작가의 감각을 반영한다. <분수>는 알루미늄 포일이라는 일상적인 재료를 구기고, 두드리고, 밀어내며 결합한 조형 작업이다. 도이재나는 이 재료 특유의 금속성 질감과 은은한 반사 효과를 살려, 빛을 받아 반짝이는 분수의 한 장면을 떠올리게 한다. 화려한 색채 대신 은빛과 파스텔 톤을 사용해 색 대비를 낮추고,밝고 명료한 시각적 인상을 형성하였다.
도이재나의 조각은 환영을 생성하지 않는다.작업은 어떤 ‘대상’의 묘사라기보다, 그것을 지각하는 방식, 그리고 그 지각을 구조화하는 태도에 가깝다.이들은 연결, 쌓기, 조립, 변형 등을 통해 물리적 구조를 형성하고,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관계와 상호작용에 대한 탐구를 지속해 왔다. 특히 이번 신작에 사용된알루미늄 포일의 구기고, 두드리고, 밀어내는 물성은 그 자체로 구조적 완결성을 만들어내며, 조형적 밀도를 형성한다. 소재 특유의 반사 효과는 물의 속성을환기시키고, 은빛과 파스텔 컬러의 조화는 작업 전반에 가볍고 맑은 분위기를 부여한다.
이번 작업은 도이재나가 꾸준히 탐구해 온 ‘연결의 이미지’를 분수의 움직임에 투영함으로써, 순환성과 영속성을 시각화한다. 관객은 덜어낸 감각과 정지된 흐름 속에서도 여전히 아름다움을 느끼게 되며, 분수를 닮지 않은 분수 작업 속에서 분수를 ‘보게’ 될 것이다. 도이재나의 조각은 의미를 말하기보다, 의미를 둘러싼 침묵을 감각하게 한다. 그 의미는 작품 안에 고정된 채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당신의시선 주변에서 조용히 머무른다.
JUNGWON YOON: Blue Reflections and Hidden Layers